Mark930.k
Nightcrawler
Mark930.k
전체 방문자
오늘
어제
  • 📚 WWW (102)
    • 🖥하드웨어 (1)
    • ⚡네트워크 (38)
      • Amazon AWS (5)
      • OSI 7 Layer (1)
      • 네트워크 기초 (2)
      • Linux (2)
    • 💻모의해킹 (9)
      • Android (1)
      • Microsoft (7)
      • Linux (0)
      • 침해대응 (1)
    • 🐧리눅스 (0)
    • 🏋️‍♂️운동 (7)
      • 헬스 루틴 (6)
    • 🏎️자동차 (1)
      • BMW (1)
    • 기타 (13)
      • NetScaler 업무 페이지 (8)
    • 📖독서 (1)
      • 경제 (1)

블로그 메뉴

    공지사항

    인기 글

    태그

    • 웹위변조
    • 보안
    • python
    • Security
    • Python test
    • 네트워크
    • 해킹
    • zeroday
    • 정보보안
    • 위변조
    • CVE-2022-30190

    최근 댓글

    최근 글

    티스토리

    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    Mark930.k

    Nightcrawler

    Citrix XenDesktop 교육자료
    기타/NetScaler 업무 페이지

    Citrix XenDesktop 교육자료

    2019. 6. 5. 15:56


    - Citrix WanScaler
    WAN 가속화 장비

    - Citrix NetScaler
    LAN 가속화 장비

    - 접속 방식은 W/I 방식과 PN Agent 방식이 있음

    - Local을 거치치 않고 바로 VM으로 접속도 가능함



    - ICA Protocol로 전송
    Data가 아닌 실행값만 주고 받음
    처음 접속시 화면값을 받아오고 그 이후부터는 변화된 화면값만 전송하므로 빠름

    - License 관련 문제
    Vender마다 다름
    Citrix와 MS의 경우 동시 사용자 수
    다른 일부 회사는 모든 사용자 수가 필요함
    (컴퓨터 registry로 확인 가능함)

    - XenDesktop을 휘한 사양
    CPU : VT지원, core당 4~5개, 1core는 XenServer가 사용해야함

    Memory : User수 * 할당 Memory + XenServer용(약 800mb)
   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MemoryOverCommit는 하반기 출시 예정 (VMware는 지원 하고 있음)
   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→ Memory Share (단점 : 한명의 사용자에게 문제 발생시 전체 사용자 사용 못함)
    HDD : User수 * 할당 HDD + XenServer용(__mb)
    Network : ICA기준 User당 평균 300kb (Office : 50kb, 동영상 : 500kb)
                  Port를 Bondding해서 사용함
    Office, Internet 등의 가벼운 프로그램만 사용시 CPU(듀얼코어), Memory(4G)에 약 30명 사용가능
    - Hypervisor
    가상화 프로그램 (VMware, XenServer, Hyper-V)
    VMware, XenServer는 OS이전에 설치
    Hyper-V는 OS이후에 설치

    - XenDesktop 구성시 필요한 서버
    AD, DDC, License, Web, DB

    - Data의 종류
    정적 : 고정적인 Data (계정, IP...)
    동적 : 계속 쌓여가면서 변화되는 Data (log...)

    - XenDesktop를 위해 VM을 생성시 2개는 Server제품이어야 한다(AD, DDC용)


    - VMware는 관리서버가 따로 있어 Client에는 부하가 적고, XenServer는 관리센터가 따로 없어 Client에 부하는 생길 수 있찌만 사용이 더 편리하다

    - XenServer는 log를 휘발성 실시간 Data만 제공해서 제안서를 제공할 때는 서브파티션(?) 제품을 같이 제안한다

    - Network Bondding는 논리적인 것이라 XenCenter에서 설정만 해주면 된다

    - VM XP는 core를 1개만 지원한다 7제품 부터 2core이상 사용 가능하다

    - VM 생성과 이미지 뜨기
    new : 새로운 VM 생성
    export : 생성되어 있는 VM 이미지 뜨기
    import : 생성되어 있는 VM 이미지를 가져와서 VM 생성
    copy : 생성되어 있는 VM을 copy해서 VM 생성
    fast copy : 생성되어 있는 VM에 링크를 걸어 share 상태로 새로운 VM 생성
   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원본에 손상이 생기면 사용 불가능 해짐

    - VM copy 이후에는 IP를 변경해주고, newSID를 이용해 SID와 HostNAme를 변경해주어야 한다

    - SID가 같은 경우 AD에서는 SID를 바라보기 때문에 충돌이 일어난다

    - VM에 OS를 설치한 후에는 Xentool을 설치하여 Driver를 잡아준다

    - Virtual Network Card는 8개까지 생성 된다

    - XenCenter 에서는 VNC와 RDP 두가지를 지원한다

    - Citrix License는 HostName이 같으면 사용 할 수 있다

    - Citrix License Server는 문제 발생시 한달간은 이전 인증값으로 사용이 가능하다

    - 1개의 DDC는 500 or 1500개의 User만큼의 환경을 관리할 수 있다

    - 현재 XenDesktop은 로그인 상태에서 세션이 끊기면 다시 로그인이 되지 않아 
    VM을 강제로 재부팅 해야하는 이슈가 있다

    - DDC 설치 시 옵션
    Pooled : 1/n 확률 방식으로 접속(Random)
    Assign : 지정받은 후 재접속시 이전 접속 Desktop으로 접속 된다
    Pre-Assign : 사용자와 해당 Desktop이 1:1로 지정 접속 된다

    - 사용자 추가 후에는 remote 그룹에 추가 해줘야 한다 (terminal 기반으로 만들어 졌기때문에)

    - Citrix 정책
    Presentation Server에서 설정한다
    정책은 IP단위/Client단위/User단위/Group단위로 가능하다
    정책은 위에서 아래로 적용되고, 상반된 정책은 위에것이 적용 된다

    - 자주 사용되는 Citrix 정책
    1. Speed Screen : 화면값 압축률을 높인다 (이미지의 질이 낮아짐)
   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LAN 구간에서는 거의 사용하지 않고 WAN 구간에서 사용
   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Bandwidth-Speed Screen
    2. Mapping : 클라이언트와 서버드라이브 Mapping (Mapping을 사용하면 조금 느려진다)
   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Client Device-Resources-Mapping
    3. Turnoffspeakers : 사운드 켜기/끄기
   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Client Device-Resources-Audio-Turnoffspeakers
    4. Printing : 자동으로 프린터를 설정한다 
   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(자동으로 되지 않는경우 Server에 드라이버를 설치해야한다)

    - 데스크탑 가상화의 구성기술
    1. 사용자 접속 환경및 할당된 데스크탐으로 연결 (Broker)
    2. 다수의 데스크탑이 실행되기 위한 VM환경 (Hypervisor)
    3. 사용자 단말기와 가상 데스크탑을 연결하는 전송기술(Delivery) ← Citrix의 강점
    4. 다수의 데스크탑 환경을 보급, 관리 (Provisioning)

    - Provisioning Server
    공용 VM하나를 생성
    사용자 접속시에는 OS + 사용자Cash(Profile)을 보내서 개별환경처럼 사용하게 함
    Data는 보통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사용하게 한다 (로그온/로그오프 스크립트 사용)
    교육장 등의 사용자가 특정하게 정해지지 않은 곳에서 많이 사용
    장점 : 스토리지절약, 로그오프 후 다시 로그온 하면 다시 깨끗한 상태의 OS가 올라온다
    단점 : 처음 실행시 조금 느리가 접속 된다



    출처: https://iampsy.tistory.com/31?category=310527 [깡통소리]

    저작자표시 변경금지

    '기타 > NetScaler 업무 페이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    가상화란?  (0) 2019.06.05
    XenDesktop Traffic flow  (0) 2019.06.05
    Citrix 개념정리  (0) 2019.06.05
    Citrix STA(Secure Ticket Authority)란?  (0) 2019.06.05
    What is STA(Secure Ticket Authority)  (0) 2019.05.28
      '기타/NetScaler 업무 페이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    • 가상화란?
      • XenDesktop Traffic flow
      • Citrix 개념정리
      • Citrix STA(Secure Ticket Authority)란?
      Mark930.k
      Mark930.k
      Citrix Netscaler / Citrix VDI / KaliLinux / AWS / VMware / Window Svr

      티스토리툴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