Mark930.k
Nightcrawler
Mark930.k
전체 방문자
오늘
어제
  • 📚 WWW (102)
    • 🖥하드웨어 (1)
    • ⚡네트워크 (38)
      • Amazon AWS (5)
      • OSI 7 Layer (1)
      • 네트워크 기초 (2)
      • Linux (2)
    • 💻모의해킹 (9)
      • Android (1)
      • Microsoft (7)
      • Linux (0)
      • 침해대응 (1)
    • 🐧리눅스 (0)
    • 🏋️‍♂️운동 (7)
      • 헬스 루틴 (6)
    • 🏎️자동차 (1)
      • BMW (1)
    • 기타 (13)
      • NetScaler 업무 페이지 (8)
    • 📖독서 (1)
      • 경제 (1)

블로그 메뉴

    공지사항

    인기 글

    태그

    • 네트워크
    • Security
    • 보안
    • CVE-2022-30190
    • 위변조
    • 해킹
    • zeroday
    • 정보보안
    • 웹위변조
    • Python test
    • python

    최근 댓글

    최근 글

    티스토리

    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    Mark930.k

    Nightcrawler

    ⚡네트워크

    네트워크 기본 용어 개념 정리 두번째(프록시, 게이트웨이, 캐시...)

    2019. 3. 12. 10:16


     안녕하세요. 오늘은 저번 정리 PART.1에 이어 정리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.


    [ 403 Forbidden ]

     403이 발생한 원인으로는 파일 시스템의 퍼미션이 부여되지 않은 경우와 액세스 권한에 문제(허가되지 않은 송신 IP 주소의 액세스 등) 가 있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.

    -> 실제로 현업에서 API 통신간 자주 보는 상태 코드이며 보통은 ACL문제라고 볼 수 있다.


    [ 503 Service Unavailable ]

     이 리스폰스는 일시적으로 서버가 과부하 상태이거나 정검중이기 때문에 현재 리퀘스트를 처리할 수 없음을 나타낸다. 이 상태가 해소되기까지 시간이 걸리는 경우에는 Retry-After 헤더 필드에 따라 클라이언트에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.


    [ 프록시 ]

     서버와 클라이언트의 양쪽 역할을 하는 중계 프로그램으로, 클라이언트로부터의 리퀘스트를 서버에 전송하고, 서버로부터의 리스폰스를 클라이언트에 전송한다.

    클라이언트 <-> 프록시 서버 <-> 오리진 서버(Origin Server, 리소스 본체를 가진 서버)

    프록시 서버를 사용하는 이유는 캐시를 사용해서 네트워크 대역 등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과 조직 내에 특정 웹 사이트에 대한 액세스 제한, 액세스 로그를 획득하는 정책을 지키려는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.


    [ 프록시 사용 방법 2가지, 캐싱 프록시(Cashing Proxy)/투명 프록시(Transparent Proxy) ]

     캐싱 프록시 (Cashing Proxy) : 프록시에 다시 같은 리소스에 리퀘스트가 온 겨우, 오리진 서버로부터 리소스를 획득하는 것이 아니라 캐시를 리스폰스로서 되돌려 주는 타입의 프록시

     투명 프록시 (Transparent Proxy) : 리퀘스트와 리스폰스를 중계할 때 메시지 변경을 하지 않는 타입의 프록시, 반대로 메시지에 변경을 가하는 타입의 프록시를 비투과 프록시라고 한다.


    [ 게이트웨이 ]

     게이트웨이의 동작은 프록시와 매우 유사하나 게이트웨이의 경우에는 그 다음에 있는 서버가 HTTP 서버 이외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가 된다.

    클라이언트 <-(HTTP 통신) -> 게이트웨이 <-(HTTP 프로토콜 이외의 통신) -> HTTP이외의 서버

    두 컴퓨터(노드-node라고도 함)가 네트워크 상에서 서로 연결되려면 동일한 통신 프로토콜(protocol, 통신 규약)을 사용해야 한다. 따라서 프로토콜이 다른 네트워크 상의 컴퓨터와 통신하려면 두 프로토콜을 적절히 변환해 주는 변환기가 필요한데, 게이트웨이가 바로 이러한 변환기 역할을 한다. 한국인과 미국인 사이에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통역사를 두는 것과 동일하다 

    자세한 설명 참고 : http://it.donga.com/6744/


    [ 캐시(Cache) ]

     캐시는 프록시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로컬 디스크에 보관된 리소스의 사본을 가리킨다. 캐시를 사용하면 리소스를 가진 서버에 액세스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통신량과 통신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. 캐시 서버는 프록시 서버의 하나로 캐싱 프록시로 분류되며 캐시 서버의 장점은 같은 데이터를 몇 번이고 오리진 서버에 전송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. (클라이언트는 네트워크에서 가까운 서버로부터 리소스를 얻을 수 있고 서버는 같은 리퀘스트를 매번 처리하지 않아도 된다)


    [ 클라이언트에 존재하는 캐시 ]

     캐시 서버만 캐시를 가지고 있는 게 아니라 클라이언트가 사용하고 있는 브라우저에서도 캐시를 가질 수 있다. IE에서 클라이언트가 보존하는 캐시를 인터넷 임시 파일이라고 부른다. 브라우저가 유효한 캐시를 가지고 있는 경우, 같은 리소스의 액세스는 서버에 액세스하지 않고 로컬 디스크로부터 불러 온다.



    출처: https://brocess.tistory.com/30?category=715040 [행복한디벨로퍼]

    '⚡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    [서버관리] 인바운드 트래픽과 아웃바운드 트래픽  (0) 2019.04.02
    ACL(Access Control List)란?  (0) 2019.04.02
    네트워크 기본 용어 개념 정리 첫번째(TCP/IP, 패킷, 레인지 리퀘스트...)  (0) 2019.03.12
    백본 스위치  (0) 2019.03.12
    서버 가상화  (0) 2019.03.12
      '⚡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    • [서버관리] 인바운드 트래픽과 아웃바운드 트래픽
      • ACL(Access Control List)란?
      • 네트워크 기본 용어 개념 정리 첫번째(TCP/IP, 패킷, 레인지 리퀘스트...)
      • 백본 스위치
      Mark930.k
      Mark930.k
      Citrix Netscaler / Citrix VDI / KaliLinux / AWS / VMware / Window Svr

      티스토리툴바